1. 내가 만난 공인중개사, 진짜 공인중개사일까?
부동산 중개 어플에 있는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믿지 마세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공인중개사 자격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메뉴] 열람공간 > 부동산중개업조회 (가장 첫번째 탭)
으로 들어가면 전국 지자체의 부동산중개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요.
다음 링크를 클릭해 확인해보세요! 국가공간정보포털 nsdi.go.kr
중개사가 아닌 사람이 중개사인 척 계약을 종용하고 있다면 그 계약은 잠시 STOP,,,
중개 자격이 있는 사람과 계약할 수 있는 중개소를 찾아가는 것을 추천드려요.
만약 중개사 자격증이 없는 사람과 계약을 했다면? 이건 불법이에요.
시청/구청의 지적과/토지정보과 등을 통해 "불법중개행위신고"를 할 수 있어요.
두 개 이상의 중개소가 관여하는 '공동중개'의 경우에서도 가짜 중개사가 있을 수 있어요!
내게 집을 보여준 중개소와, 계약서에 서명하는 중개소가 서로 다르다면?
이것도 불법적인 중개 행위로, 신고를 할 수 있어요.
만약 신고 접수가 원활하지 않다면, 국민신문고, 소극행정신고 등을 해볼 수 있어요.
민달팽이유니온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주거상담을 신청해주세요 (주거상담 신청 바로가기).
2. 내가 만난 임대인, 진짜 임대인일까?
▶ 계약서를 쓰러 내 앞에 앉아 있는 임대인, 정말 임대인이 맞나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1) 신분증 사실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1) ARS 국번없이 1382번으로 전화하여 누구나 주민등록증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어요.
(2) 정부24 사이트에서 공동인증서 본인인증 후, 주민등록증 진위를 확인할 수 있어요 (링크 바로가기).
2) 등기부등본과 비교해보세요.
신분증에 쓰여 있는 임대인의 인적 사항과 등기부등본 상의 임대인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가짜 임대인이 등기부등본을 위조하고 세입자의 보증금 떼먹는 사기도 발생하곤 하거든요 (링크 바로가기).
그런데, 임대인이 아닌 오지 않고, 대리인이 오는 경우도 있어요.
▶ 임대인의 대리인과 계약하게 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임대인의 ‘인감증명서’ 원본 을 받으세요.
2) 임대인의 인감도장이 찍혀 있으며 & 대리인의 인적사항이 함께 적힌 ‘위임장’ 도 받으세요.
그리고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대조해 두 서류 속 인감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이에 더해 임대인과도 유선 전화를 해서 계약 내용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해요.
▶ 계약하는 과정에서, 임대인과 더 분명히 확인해볼 것들도 소개할게요.
1) 계약금, 보증금, 월세 등은 반드시 임대인 명의로 된 통장에 입금하세요.
2) 계약 당일에 임대인이 집을 팔고 & 내 보증금을 들고 사라지면 안돼! 계약 당일의 권리 관계 변동이 생길 경우에 관한 특약을 공인중개사와 상의하여 함께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세입자도 주거권을 온전히 보장받는 날까지!
민달팽이와 함께 변화를 만들어보자✨
-
민달팽이유니온의 [두근두근💦 집구하기 시뮬레이션🏠🎮🐌]을 플레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구나 집다운 집에서 안전하게 오래오래 살 수 있도록,
민달팽이 운동과 제도개선 활동에 함께 힘을 보태주세요!
-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다양한 방법으로 민달팽이와 함께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https://minsnailunion.net/secession
💛후원하기: https://minsnailunion.net/support
📢제보하기: https://minsnailunion.net/here
👂주거상담: https://minsnailunion.net/consultform
잠깐! 글 읽기 전에!
🐌 : "나는 집구하기 위한 준비가 얼마나 됐을까?"
같이 해볼까요?
두근두근💦 집구하기 시뮬레이션🏠🎮🐌
(https://youtu.be/E2J3G_aFgH8)
(제목이나 아래 동영상을 클릭해 게임을 플레이해보세요!)
1. 내가 만난 공인중개사, 진짜 공인중개사일까?
부동산 중개 어플에 있는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믿지 마세요!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공인중개사 자격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메뉴] 열람공간 > 부동산중개업조회 (가장 첫번째 탭)
으로 들어가면 전국 지자체의 부동산중개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요.
다음 링크를 클릭해 확인해보세요! 국가공간정보포털 nsdi.go.kr
중개사가 아닌 사람이 중개사인 척 계약을 종용하고 있다면 그 계약은 잠시 STOP,,,
중개 자격이 있는 사람과 계약할 수 있는 중개소를 찾아가는 것을 추천드려요.
만약 중개사 자격증이 없는 사람과 계약을 했다면? 이건 불법이에요.
시청/구청의 지적과/토지정보과 등을 통해 "불법중개행위신고"를 할 수 있어요.
두 개 이상의 중개소가 관여하는 '공동중개'의 경우에서도 가짜 중개사가 있을 수 있어요!
내게 집을 보여준 중개소와, 계약서에 서명하는 중개소가 서로 다르다면?
이것도 불법적인 중개 행위로, 신고를 할 수 있어요.
만약 신고 접수가 원활하지 않다면, 국민신문고, 소극행정신고 등을 해볼 수 있어요.
민달팽이유니온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주거상담을 신청해주세요 (주거상담 신청 바로가기).
2. 내가 만난 임대인, 진짜 임대인일까?
▶ 계약서를 쓰러 내 앞에 앉아 있는 임대인, 정말 임대인이 맞나요? 어떻게 알아볼 수 있을까요?
1) 신분증 사실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1) ARS 국번없이 1382번으로 전화하여 누구나 주민등록증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어요.
(2) 정부24 사이트에서 공동인증서 본인인증 후, 주민등록증 진위를 확인할 수 있어요 (링크 바로가기).
2) 등기부등본과 비교해보세요.
신분증에 쓰여 있는 임대인의 인적 사항과 등기부등본 상의 임대인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가짜 임대인이 등기부등본을 위조하고 세입자의 보증금 떼먹는 사기도 발생하곤 하거든요 (링크 바로가기).
그런데, 임대인이 아닌 오지 않고, 대리인이 오는 경우도 있어요.
▶ 임대인의 대리인과 계약하게 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임대인의 ‘인감증명서’ 원본 을 받으세요.
2) 임대인의 인감도장이 찍혀 있으며 & 대리인의 인적사항이 함께 적힌 ‘위임장’ 도 받으세요.
그리고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대조해 두 서류 속 인감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이에 더해 임대인과도 유선 전화를 해서 계약 내용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해요.
▶ 계약하는 과정에서, 임대인과 더 분명히 확인해볼 것들도 소개할게요.
1) 계약금, 보증금, 월세 등은 반드시 임대인 명의로 된 통장에 입금하세요.
2) 계약 당일에 임대인이 집을 팔고 & 내 보증금을 들고 사라지면 안돼! 계약 당일의 권리 관계 변동이 생길 경우에 관한 특약을 공인중개사와 상의하여 함께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세입자도 주거권을 온전히 보장받는 날까지!
민달팽이와 함께 변화를 만들어보자✨
-
민달팽이유니온의 [두근두근💦 집구하기 시뮬레이션🏠🎮🐌]을 플레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누구나 집다운 집에서 안전하게 오래오래 살 수 있도록,
민달팽이 운동과 제도개선 활동에 함께 힘을 보태주세요!
-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 다양한 방법으로 민달팽이와 함께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https://minsnailunion.net/secession
💛후원하기: https://minsnailunion.net/support
📢제보하기: https://minsnailunion.net/here
👂주거상담: https://minsnailunion.net/consul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