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동반자법과 그 너머의 가족구성권을 실천하고 상상하는 사람들의 공론장🌟
안녕하세요.
저희는 2023년 봄, 최초로 생활동반자등록법이 국회 발의에 즈음해 가족제도/정책의 변화를 함께 논의하기 위해 모인 단체들입니다. 생활동반자등록법이 기존의 혈연/혼인에 기반한 가족제도을 넘어 새로운 시민적 연대와 돌봄을 상상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집니다.
하지만 법안이 가진 성인, 국민, 2인 중심의 한계를 비롯해 단일한 하나의 법안으로 충분하지 않은 여러가지 사회적 권리들을 함께 논의하고 폭넓은 변화를 계속 만들어나가기 위해 필요한 주체를 호명하고, 이야기들을 드러내고, 권리들을 발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이번 공론장을 통해서 생활동반자법과 그 너머의 가족구성권을 실천하고 상상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일시 : 2023년 9월 22일 (금) 오후 2-5시
➕장소 : 강북노동자복지관 5층 강당 (서울시 마포구 환일길 13)
➕공동주최 : 가족구성권연구소, 나눔과나눔, 민달팽이유니온, 변화된미래를만드는미혼모협회 인트리, 사회복지연구소 물결, 성별이분법에저항하는사람들의모임 여행자, 언니네트워크, 장애여성공감,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사)안산공동체미디어)
🟰문자통역과 수어통역이 진행됩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주차가 어렵습니다.
참가신청 https://forms.gle/FUeVk6EHJKenixXD7
🟰행사참가비는 자율 후원입니다. 신한은행 100-033-201548 가족구성권연구소
🔴기조발제
기존 ‘가족’ 너머에서 사회적 연대의 장을 모색하는 퀴어가족정치_김순남(가족구성권연구소)
🔵발제
▪️생활동반자법과 어린이·청소년의 가족구성권_빈둥(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주거 정책에서 호명되지 않는 존재들_김경서(민달팽이유니온)
▪️‘애도할 권리’와 ‘애도 받을 권리’를 위한 친밀한 관계의 범위_박진옥(나눔과나눔)
▪️트랜스젠더퀴어의 삶, 가족, 가족구성권_도균(성별이분법에저항하는사람들의모임 여행자)
▪️성소수자의 돌봄 실천을 통한 삶/관계의 재정의_터울(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가족결합권 보장없는 10년의 이주노동자 체류와 공동체_정혜실((사)안산공동체미디어)
▪️장애여성의 돌봄과 탈시설 그리고 가족구성권_이진희(장애여성공감)
🌟생활동반자법과 그 너머의 가족구성권을 실천하고 상상하는 사람들의 공론장🌟
안녕하세요.
저희는 2023년 봄, 최초로 생활동반자등록법이 국회 발의에 즈음해 가족제도/정책의 변화를 함께 논의하기 위해 모인 단체들입니다. 생활동반자등록법이 기존의 혈연/혼인에 기반한 가족제도을 넘어 새로운 시민적 연대와 돌봄을 상상하는데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집니다.
하지만 법안이 가진 성인, 국민, 2인 중심의 한계를 비롯해 단일한 하나의 법안으로 충분하지 않은 여러가지 사회적 권리들을 함께 논의하고 폭넓은 변화를 계속 만들어나가기 위해 필요한 주체를 호명하고, 이야기들을 드러내고, 권리들을 발굴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이번 공론장을 통해서 생활동반자법과 그 너머의 가족구성권을 실천하고 상상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일시 : 2023년 9월 22일 (금) 오후 2-5시
➕장소 : 강북노동자복지관 5층 강당 (서울시 마포구 환일길 13)
➕공동주최 : 가족구성권연구소, 나눔과나눔, 민달팽이유니온, 변화된미래를만드는미혼모협회 인트리, 사회복지연구소 물결, 성별이분법에저항하는사람들의모임 여행자, 언니네트워크, 장애여성공감,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사)안산공동체미디어)
🟰문자통역과 수어통역이 진행됩니다.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주차가 어렵습니다.
참가신청 https://forms.gle/FUeVk6EHJKenixXD7
🟰행사참가비는 자율 후원입니다. 신한은행 100-033-201548 가족구성권연구소
🔴기조발제
기존 ‘가족’ 너머에서 사회적 연대의 장을 모색하는 퀴어가족정치_김순남(가족구성권연구소)
🔵발제
▪️생활동반자법과 어린이·청소년의 가족구성권_빈둥(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주거 정책에서 호명되지 않는 존재들_김경서(민달팽이유니온)
▪️‘애도할 권리’와 ‘애도 받을 권리’를 위한 친밀한 관계의 범위_박진옥(나눔과나눔)
▪️트랜스젠더퀴어의 삶, 가족, 가족구성권_도균(성별이분법에저항하는사람들의모임 여행자)
▪️성소수자의 돌봄 실천을 통한 삶/관계의 재정의_터울(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가족결합권 보장없는 10년의 이주노동자 체류와 공동체_정혜실((사)안산공동체미디어)
▪️장애여성의 돌봄과 탈시설 그리고 가족구성권_이진희(장애여성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