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신 : 각 언론사 경제부·사회부·국토부 주거부동산 담당 제 목 : [보도자료] 성균관대캠퍼스타운, 민달팽이유니온 종로청년주거개선프로젝트 알림 1. 청년 주거권 보장을 위해 활동하는 청년단체인 민달팽이유니온입니다. 정론보도를 위한 노고에 감사합니다. 2. 민달팽이유니온과 성균관대캠퍼스타운은 서울시에서 거주, 생활하는 청년들과 종로구 주민으로 살고있는 청년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 <월.균.관>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청년주거환경개선 프로젝트 <월.균.관>은 ‘월세살이(청년들의 독립, 위법건축물)’, ‘곰팡이(주택관리)’, ‘관리비(원룸관리비)’, 총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7월과 8월은 교육 및 상담 편을 운영합니다. 각 프로그램은 교육과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의 주거 문제에 대한 고민을 전문가와 함께 나누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의 주제별 강의 후, 강의 내용을 심화한 실습 활동으로 연결하여 참여자들의 주거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심화 활동은 서울시 내 다양한 주거지 탐방, 주거 상담 활동 등으로 구성되며 탄탄하게 주거문제에 대해 고민하고자 합니다. 4. 첫 번째 주제인 ‘월세살이’는 7월 초 다양한 청년들과 함께 진행하였으며, 청년들의 독립 과정에 대해 폭넓게 들여다보는 한편,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위반건축물 문제에 대해서 깊게 들여다보는 시간을 함께 가졌습니다. 5. 7월 23일부터는 두 번째 주제인 ‘곰팡이(주택관리)’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오프라인 강연과 실습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온라인에서도 최대한의 교육적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세션은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됩니다. 포스터 속의 QR코드를 통해 참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7월 23일: 민달팽이유니온,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사회주택 속 주택관리 ▲7월 24일: (주)주생활연구소 신수임 연구원: 공공임대주택에서의 주택관리 ▲7월 25일: 여기공협동조합 인다 이사장: 청년들이 직접 할 수 있는 주택관리 6. 8월 11일부터는 세 번째 주제인 ‘관리비(원룸관리비)’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민달팽이유니온 지수 위원장, 8월 16일 빌려쓰는사람들 권지웅 대표, 8월 18일 청년참여연대 희원 사무국장의 강연과 워크숍을 통해 ‘제 2의 월세’라고도 불리는 관리비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고, 참석자들이 함께 토론할 예정입니다.
7. 7-8월의 교육 및 상담 편이 끝나면, 9월부터 참여자들과 함께 월세살이, 곰팡이, 관리비에 관한 연구/콘텐츠 제작 편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참여자들의 주거해결 방안과 제안점을 풍부하게 담을 연구와 콘텐츠를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청년의 주거 목소리를 담아 전달 드리겠습니다. 8. 정론보도를 위해 애쓰시는 기자 여러분들의 많은 보도 바랍니다.
끝. 첨부 1. (포스터) |
5. 7월 23일부터는 두 번째 주제인 ‘곰팡이(주택관리)’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오프라인 강연과 실습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온라인에서도 최대한의 교육적 경험을 느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세션은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됩니다. 포스터 속의 QR코드를 통해 참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7월 23일: 민달팽이유니온,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사회주택 속 주택관리
▲7월 24일: (주)주생활연구소 신수임 연구원: 공공임대주택에서의 주택관리
▲7월 25일: 여기공협동조합 인다 이사장: 청년들이 직접 할 수 있는 주택관리
7. 7-8월의 교육 및 상담 편이 끝나면, 9월부터 참여자들과 함께 월세살이, 곰팡이, 관리비에 관한 연구/콘텐츠 제작 편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참여자들의 주거해결 방안과 제안점을 풍부하게 담을 연구와 콘텐츠를 기다려주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청년의 주거 목소리를 담아 전달 드리겠습니다.
8. 정론보도를 위해 애쓰시는 기자 여러분들의 많은 보도 바랍니다.
끝.
첨부 1. (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