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 연대

청년주거문제를 다루며 차별금지법, 젠더, 기후위기, 아동청소년주거권 의제 등과 연대합니다

[보도자료] 청년 주거와 기후위기의 교차로에서 - 기후 위기는 불평등하게 닥친다 - 민달팽이 특강 청년주거x기후위기x젠더 1차시 ‘집은 왜 점점 더 불평등해질까 : 기후사이렌’ -

2021-07-20
조회수 1580

보 도 자 료

문서일자
20210721(

수 신 각 언론사 경제부·사회부·국토부 주거부동산 담당
제 목 [보도자료청년 주거와 기후위기의 교차로에서 기후 위기는 불평등하게 닥친다
민달팽이 특강 청년주거x기후위기x젠더 1차시 집은 왜 점점 더 불평등해질까 기후사이렌’ -
담 당 지수 민달팽이유니온 010-2231-1742
홈페이지 minsnailunion.net
 

청년 주거권 보장을 위해 활동하는 청년단체인 민달팽이유니온에서는 지난 719민달팽이 특강 청년주거X기후위기X젠더’ 온라인 특강 첫 번째 차시를 개최했다
 
이번특강은 청년주거X기후위기X젠더라는 주제 하에집다운 집을 위한 의제들의 교차점과 연결지점을 알아보고익숙한 불평등과 차별에서 벗어나 연대와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마련되었다총 세 차례에 걸쳐 각 분야의 전문가를 연사로 모시고 강의과 질의응답자유토론을 진행한다.
 
첫 날인 719일에는 한겨레 최우리 기자가 집은 왜 점점 더 불평등해질까 기후사이렌’ 이라는 제목으로 주거와 기후의 교차점에 대해 다뤘다최우리 기자는 한겨레 기후변화팀 소속으로 환경 이슈를 취재하고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환경 문제에 있어서 인권을 키워드로 두고 기후위기가 의식주를 어떻게 위협하는가를 들여다보고 있다온라인 줌 웨비나로 진행된 이번 특강에서 패널(민달팽이유니온 지수 활동가이나경 청년 기후 활동가양예빈 청년 기후 활동가)들과 최우리 기자그리고 질문으로 참여한 참여자들은 피할 수 없는 미래로 다가온 기후 위기 속에서 주거와 관련해 나타나는 불평등에 관해 함께 이야기했다
 
비닐하우스나 쪽방해안가 지대 등에 거주하며 기후위기로 인해 기후난민이 될 위기에 놓인 계층을 기후민감계층이라고 한다단열이 제대로 되지 않는 비닐하우스나 쪽방만조와 폭우가 더해져 태풍의 피해를 곱절로 받는 해안가 주민 등의 사례는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쉽지 않을 수 있으나적어도 90년대 이후로 기후와 관련해 벌어지는 재난은 넒은 범주에서 기후 위기의 전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고 최 기자는 전했다기후위기는 불평등하게 닥친다쪽방은 애초에 방이 심각하게 좁으니기본적으로 폭염에 더 취약하다최 기자는 최근 서유럽의 폭우 재해를 언급하며어떤 계층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는가를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한편으로 기후민감계층은 피해 당사자임에도 불구기후 민감성이 떨어진다는 이슈도 있다기후변화에 대한 반응 속도가 더딘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기후위기가 심해질수록 안전한 집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다. ‘오션 뷰숲속 뷰를 가진 집이 보기에는 좋겠지만태풍이나 산사태물난리 등 자연 재해가 닥칠 때는 집의 가치를 판단하는 근거가 달라지는 것이다하지만 기후민감계층의 집은 어디인가저소득층이 거주하는 곳은 폭염과 한파에 그대로 노출된다심지어 코로나 19 재난 속에서 기후민감계층이 겪는 문제의 대안이 될 무더위 쉼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며다른 대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기후위기와 주거 문제의 교차점은 청년 주거 문제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대출을 받는 것도 권리가 되는 사회에서 청년을 사회적 약자가 아니라고 말하기는 쉽지 않다통풍과 환기방음이 제대로 되지 않는 2평짜리 공간에서 청년이 스스로의 마음을 지킨다는 것은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이 분명할 것이다최 기자는 청년의 주거권을 이야기하며 집을 가진 자와 가지지 않은 자의 분리가 굉장히 빠르게 일어날 것이 예측된다세대 간 격차나 세대 내 자산 격차 역시 무시 못 할 상황이 됐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년 여성들은 중첩된 위기 속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최 기자는 인도 농촌에서 폭염에도 식수를 길으러 먼 길을 다니는 아동 청소년 여성의 사례여성이 남성보다 기후 변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글로벌 젠더 기후 연대의 보고서를 추가 분석한 결과를 인용하며 기후위기는 가정과 삶을 파괴하고 생존을 위협하며중첩된 위기 속에서 여성은 더 약자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최 기자는 기후 위기를 꿰뚫는 키워드는 불평등과 인권이라며 친환경적인 생활과 연대는 기본청잭이 바뀌려면 직접 행동하는 시민과 청년들의 목소리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의를 마무리했다.
 
오는 726일에는 한국도시연구소 최은영 소장의 특강이 예정되어 있다가져본 적 없는 집에 대하여 비적정 주거와 최저주거기준이라는 이름으로 최저주거기준이라는 주제를 보다 폭넓고 깊게 들여다보며 집과 불평등에 대해 이야기하고대안을 토론해 갈 예정이다오는 813일 순서에서는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김현미 교수가 ‘2021불평등은 어떻게 우리의 일상이 되었나 주거기후위기젠더의 교차점 및 우리의 과제라는 이름으로 세션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번 특강의 주제들을 총망라해 그 연결지점을 찾아보며앞으로의 과제에 대한 토론 순서가 마련되어 있다.
 
이번 특강은 온라인 줌 웨비나로 진행되며사전 신청자에 한해 줌 웨비나 참여 링크를 발송할 예정이다신청은 온라인 링크로 강의별로 모집하며 신청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신청 방법: http://bit.ly/청주기젠
▶ 신청 기간강의별 모집 (812일까지)

[비영리 민간단체] 민달팽이유니온 | 사업자등록번호105-82-74763 | 통신판매업 2022-서울서대문-1726 | 대표ㆍ서동규

주소 (우)03750 서울시 서대문구 북아현로 54-1, 2층 (지번) 북아현동 3-130 | 이메일 minsnailunion@gmail.com

전화 070 - 4145 - 9120 (단문 메세지 주고받기 가능) | FAX 0303-3441-9120  | 블로그 바로가기

후원계좌 : 우리은행 1005-402-466188 민달팽이유니온

  외근이 잦아 전화연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공식 메일로 용건을 남겨주시면 가장 빠르고 확실합니다.

Copyright ⓒ 2021 민달팽이유니온 All rights reserved.